교육정보

2023학년도 정시 입학 전형 서울대 교과 평가 반영 변경

세이루루blog 2021. 1. 12. 01:02
728x90
반응형

대학과 책

2023학년도 서울대 입학 전형 예고 사항을 서울대 입학처에서 발표를 했습니다. 2021년도에 5월 1일에 서울대 입학처 홈페이지에서 공지하는 내용을 먼저 공고한 사항인데요. 새로운 평가 요소인 교과 평가를 발표했는데요. 서울대 2023학년 입학 전형 예고안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시 모집 지역 전형 전형에서는 1단계 서류 100%, 3배 수로 선발하고 2단계에서 1단계 70점, 면접 30점으로 합격생을 선발했는데요. 여기서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을 4개 영역에서 3개 영역 이상 2등급 이내에서 4개 영역에서 3개 영역 등급 합이 7등급으로 변경했습니다. 2023학년도에는 학령인구가 지금보다 더 줄어들고 수능이 필요 없는 학생들이 수능을 안 보게 되면 수능에서의 1~2등급 인원이 줄어든다고 합니다. 또한 2020 학년 지역 균형 전형에서 최저 학력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인원은 지역 균형 전형의 지원자 중에서 대략 44%가 충족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최저 기준 미충족은 대도시와 지방과 다소 차이가 있다고 합니다. 수시에서 정원을 못 채운 인원은 정시로 이월되는데요. 전문가들은 수능 최저 기준 완화로 인한 이월 인원이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지방의 합격생이 늘어날 수도 있다고 합니다. 또한 수능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서 학업 역량을 서류 평가로 선발하려는 것 같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평가

정시에서 지역 균형 전형을 새로 신설했습니다. 수능 60점과 교과 평가 40점으로 선발한다고 하는데요. 현재까지 수시에서 지역 균형 선발은 재학생만 학교별로 2명을 추천받아서 지원을 했지만 정시에서 지역 균형 전형은 졸업생까지 추천해서 지원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학생부의 교과 학습 발달 상황을 반영하여 모집 단위 관련 학문 분야에 필요한 이수 현황, 교과목 학업 성취,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을 교과 평가로 평가한다고 합니다. 정시에서 재학생의 지원이 쉽지 않아서 졸업생까지 확대한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애길하는데요. 교과 평가가 40점 만점에서 AA 점수에서 CC를 받은 수험생의 점수 차이는 10점인데요. 이 중에서 BC나 CC를 받는 수험생의 지원이 많지 않으므로 교과 평가는 서울대 지원 시 영향력은 크지 않을 것 같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하고 있습니다. 

 

★ 2023학년 서울대 신설 정시 지역 균형 전형

수능 교과 평가
60점 40점
등급 조합 AA AB BB BC CC
배점 10 8 6 3 0

수능 점수 산출 방법 

모집 단위 지원자 중 최고점 - 모집 단위 지원자 중 최저점이 15점 이상인 경우 

15점 × {(지원자 점수 - 모집 단위 중 최저점) ÷ (모집 단위 중 최고점 - 모집 단위 중 최저점)}+45점

모집 단위 지원자 중 최고점 - 모집 단위 지원자 중 최저점이 15점 미만인 경우

60점 - (모집 단위 중 최고점 - 지원자 점수)

교과 평가 방법 

2인 평가 등급 조합 + 30점 , 평가 등급은 A, B, C 3단계로 2명의 평가자가 독립적으로 평가해서 점수 부여

 

서울대 일반 전형은 1단계에서 수능 100%로 2 배수의 인원을 선발하고, 2단계에선 1단계 성적 680점과 교과 평가 20점으로 합격생을 선발한다고 합니다. 

등급 조합 AA AB BB BC CC
배점 5 4 3 2 1

교과 평가 점수 산출은 2인 평가 등급 조합 + 15점

 

일반 전형에서 1단계 수능 100%이고 2단계에서 80%를 반영하므로 우선 1단계를 통과해야 하는데요. 교과 평가를 반영해도 일반전형의 핵심은 수능이라고 합니다. 교과 평가 등급 간의 차이가 1점이므로 교과 평가를 떠나서 일반 전형의 핵심은 수능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합격선이 촘촘하면 교과평가도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수능 성적 산출 방식을 해석하면 다음과 같은데요. 

지역 균형 전형에서 최고점 430점, 최저점 420점이고 지원자 점수가 425점이면 60점 - (모집 단위 중 최고점 - 지원자 점수)에서 425점 얻은 학생의 점수는 55점이고 430점 얻은 학생은 60점이고 수능 60점으로 환산한 점수와 표점 총점 차이가 크지 않다고 합니다. 일반 전형도 80점 -(1단계 합격자 최고점 - 지원 점수)로 표점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다고 합니다. 또한 최고점 430점, 최저점 410점이고 지원자가 420점 얻으면 15점 × {(지원자 점수 - 모집 단위 중 최저점) ÷ (모집 단위 중 최고점 - 모집 단위 중 최저점)}+45점에 의해서 52.5점이고 지원자 점수가 410점이면 45점을 얻습니다. 교과 평가에서 등급 간격이 지역 균등 전형에서 최대 10점인데요. 교과 평가가 반영된다고 해도 수능 비중이 낮아지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일반 전형에서도 같다고 합니다.    

 

학생부 교과 학습 발달 상황 이수 교과 현황, 학업 성적, 세특 등 반영해서 모집 단위 필요한 것을 평가하는 방식이라고 합니다. 과목 이수 현황에서 교과별 위계에 따른 선택 과목 이수 내용, 진로 적성에 따른 선택 과목 이수 내용을 평가한다고 합니다. 여기서 교과 이수 기준에서 수학 교과에서 일반선택 4과목 또는 일반선택 3과목과 진로선택 1과목으로 한다고 발표를 했다고 합니다. 즉 보여주기 공부보다는 기본에 충실한 공부를 권장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일반고 학생이건 특목고, 자사고 학생이건 어디 학교가 유리하고 불리하고는 큰 영향이 없다고 합니다. 서울대 교과 평가는 내신 평가가 아닌 교과목을 성적 등급으로 판단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과목 수준, 학생 수, 원점수, 평균, 표준편차, 분포 비츌 등등을 두루 보고 학업적 역량이 있는지 본다고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