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정보

EBS 연계 비율 변화 70%에서 50%로 2022 수능

세이루루blog 2021. 5. 13. 23:39
728x90
반응형

2021 수능까지는 간접과 직접 통틀어서 70%의 연계율을 유지했던 것을 2022 수능에서 EBS 연계율을 50%로 낮추고 특히 주요한 것은 간접 연계로만 출제하겠다고 발표를 했습니다. 연계에서 직접 연계와 간접 연계가 무엇인지, 그리고 EBS 교재에 대한 연계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고 있으면 좋다고 합니다. 실제로 많은 고등학교에서는 EBS 연계 교재를 수업 교재로 사용하거나 부교재로 많이 사용도 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EBS 교재는 교육과정에 맞게 좋은 내용과 개념 그리고 문제들로 구성되어 있고 좋은 검수자들의 검토 과정을 통해서 출판된 교재입니다. 간접 연계로 바뀐 2021 수능은 EBS 교재의 활용에 따라서 변화가 있을 것 같다고 합니다. 

학생과책

교육과정 평가원은 2022학년 대학 수학능력시험 예시 문항을 발표했습니다. 그리고 교육부는 2022학년 대학 수학능력시험 기본 계획 자료를 발표를 했는데요. 여기에서는 수능의 EBS 연계율은 기존 70%에서 50%로 축소하고 과목 특성에 따라서 간접 연계로 전환한다고 했습니다. 

 

https://www.suneung.re.kr/sub/info.do?m=0401&s=suneung 

 

수험자료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학수학능력시험 홈페이지

 

www.suneung.re.kr

 

https://blog.naver.com/moeblog/222277049516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행기본계획 발표

◈ 2015 개정 교육과정 취지에 따라 국어·수학·직업탐구 영역은 공통+선택 구조, 사회·과학탐구 영역은 사...

blog.naver.com


2005 학년 수능에서부터 EBS 교재와의 연계를 해서 수능을 출제했는데요. 2011 학년 수능에서는 연계율이 70% 수분으로 유지가 되어 왔으며 고등학교에서는 교과서를 대신해서 EBS 교재로 수업도 하고, 부교재로 활용도 해왔는데요. 너무 EBS 교재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져서 2022 수능에서는 연계율을 낮추고 간접 연게로 전환한 것이라고 합니다.  

EBS 연계 교재에 대한 암기와 고3 교육에 대한 학교에서의 부작용 등이 연계율 축소와 간접 연계의 주된 이유라고 합니다. 더욱이 수능 문제들이 유형화되고 있고, EBS 연계율로 인해서 수능의 문제에 대한 한계가 있다고 합니다. 

 

♡ 직접 연계 

EBS 연계 교재의 지문을 그대로 이용하고 문항을 출제하고, 문제의 일부나 부분을 변형해서 출제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영어 과목에서 EBS 교재에서 똑같은 지문을 가지고 와서 빈칸 문제나 추론 문제, 제목 찾는 문제를 출제하는 경우라고 합니다. 

 

♡ 간접 연계 

EBS 연계 교재의 지문에서 유사한 소재를 찾아서 새로운 지문을 가지고 문제를 출제하는 경우라고 합니다.

 

유사한 소재를 가지고 새로운 문제를 출제하는 간접 연계는 특정하게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명확하지 않다고 하는데요. 간접 연계가 50%라고 했지만 직접 연계와 간접 연계의 구분이 명확히 정해지지 않아서 애매하며 관련 기관인 평가원과 교육부가 이러한 부분을 명확하게 제시하면 좋다고 합니다. 어디까지 간접 연계이고, 어디까지 직접 연계인지 어떤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서 달라진다고 합니다. 특히 2021 수능에서는 연계율 70%라고 했지만 직접 피부로 느낀 수험생들은 그 보다 낮은 연계율을 느꼈다고 합니다, 

 


많은 작품과 제재들로 가득한 국어 과목은 다양한 방식으로 연계가 된다고 합니다. 화법, 작문, 문법 영역에서 EBS 연계 교재의 개념, 원리, 제재, 문항 유형 등이 활용되고, 독서는 유사한 제재의 지문이 활용된다고 합니다. 예상을 해보면 문학 영역은 작가를 연계해서 다른 작품을 출제하거나, 같은 작품을 출제하면서 제시된 작품을 다르게 하거나, 다른 지문을 같은 작품에서 출제하는 경우라고 합니다. 현재 국어는 간접 연계로 출제되었고 지문 일부, 주요 화제, 핵심 논지 등 간접 연계 방식으로 하고 특히 영어는 간접 영역으로만 준비한다고 관계자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럼 여기서 이러한 상황에서 EBS 연계 교재를 공부해야 하는가라는 의문을 가지게 되는데요. 하지만 현재는 각 고등학교에서는 EBS 교재를 부교재로 많이 활용하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그 이유는 교재는 시간을 두고 여러 선생님들의 검수 과정을 거쳐서 출판되어졌고 교육과정에서의 충실도 면에서 뛰어나다고 합니다. 완성도가 높은 교재가 EBS 교재라고 합니다. 꼭 EBS 교재를 공부할 필요는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뉴 문제와 경향을 파악하는데 좋은 교재라고 합니다. 곧 다가오는 6월과 9월에서의 평가원 모의 평가에서 어떤 형태로 연계다 되는지 비교하여 수능에 준비하면 된다고 합니다. 

개념과 기본에 기반을 둔 상황에서 문제의 유형을 파악하는 것으로 활용해도 좋다고 합니다. 

 

반응형